2022년 4월 11일 월요일

[고구려] 제5대 모본왕(慕本王, 48~53)

[고구려] 5대 모본왕(48~53)이 왕위에 오르다 [기원후 48]

 

三國史記 권 제14 고구려본기 제2

모본왕이 왕위에 오르다 [48()]

 

모본왕(慕本王)은 이름이 해우(解憂)[해애루(解愛婁)라고도 한다.]이고 대무신왕의 맏아들이다. 민중왕이 죽자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사람됨이 사납고 흉포(凶暴)하여 어질지 못하였고, 나랏일을 돌보지 않아 백성들이 원망하였다.

 

  • 모본왕(慕本王) : 고구려의 제5대 왕으로 재위 기간은 4853년이다. 이 기사에서는 이름이 해우(解憂) 또는 해애루(解愛婁)라고 하였지만, 삼국유사1 왕력(王曆)에는 성이 애류(愛留) 또는 우()라고 전한다. 계보도 본서에는 제3대 대무신왕의 맏아들로 나오지만, 삼국유사왕력에는 제4대 민중왕의 형으로 나온다. 한편 다른 고구려왕들과 달리 분주(分注) 왕명이 없는데, 본문 왕호와 동일하여 별도로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高寬敏, 118). 대무신왕 15(32) 태자로 책봉되었으나 44년 대무신왕이 죽은 뒤 어려서 왕위에 오르지 못하였다가, 48년 민중왕이 죽자 즉위하였다. 재위 2(49)에 북중국을 공격하였다고 전하지만 사실 여부는 확인할 수 없다. 사람됨이 어질지 못하여 재위 동안 폭정을 일삼아 백성들의 원성을 사다가 결국 재위 6(53)만에 시종인 모본인(慕本人) 두로(杜魯)에게 시해 당하였다. 이에 대해 왕자(王者)로서의 자격을 상실했기 때문에 살해당하는 비운을 맞았다고 보기도 한다(여호규, 2010: 2014, 250~251).
    고구려 초기 왕의 이름을 통해 유리명왕부터 시작된 해()씨 왕계가 모본왕에서 끝나고 태조왕부터 고()씨 왕계가 시작된다고 보기도 한다. 이러한 성씨의 변화를 고구려 왕실이 소노부(消奴部)에서 계루부(桂婁部)로 바뀐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지만(池內宏, 1941; 金龍善, 1980; 李鍾泰, 1990), 대체로 계루부 왕실 내부에서 방계(傍系)가 등장한 것으로 이해한다(金哲埈, 1956; 盧泰敦, 1993; 金賢淑, 1994). 한편 많은 연구자들이 음가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위서(魏書)100 열전88 동이 고구려전에 나오는 네 번째 왕인 막래(莫來)’를 모본왕에 비정하기도 하지만(那珂通世, 27~28; 津田左右吉, 1922: 1964, 412~416; 池內宏, 170~173; 金哲俊, 47; 이병도, 1977: 2012, 275; 김기흥, 217), 명확한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참고문헌
    那珂通世, 1895, 朝鮮古史考, 史學雜誌6-4
    津田左右吉, 1922, 三国史記高句麗紀批判, 滿鮮地理歷史硏究報告 9, 東京帝国大学文学部
    池內宏, 1941, 高句麗開国傳說史上事實, 東洋学報28-2
    金哲俊, 1956, 高句麗·新羅官階組織成立過程, 李丙燾博士華甲記念論叢, 一潮閣
    津田左右吉, 1964, 津田左右吉全集 (12)岩波書店
    이병도, 1977, 國譯 三國史記, 을유문화사
    金龍善, 1980, 高句麗 琉璃明王 考, 歷史學報87
    李鍾泰, 1990, 고구려 太祖王系의 등장과 朱蒙國祖意識의 성립, 北岳史論2
    盧泰敦, 1993, 朱蒙出自傳承桂婁部의 기원, 韓國古代史論叢5
    金賢淑, 1994, 고구려의 解氏王高氏王, 大丘史學47
    高寬敏, 1996, 三国史記原典的硏究, 雄山閣
    김기흥, 2005, 고구려 국가형성기의 왕계, 고구려의 국가형성, 고구려연구재단
    여호규, 2010, 고구려 초기의 왕위계승원리와 고추가, 동방학지150
    이병도, 2012, (두계이병도전집 11) 국역 삼국사기, 한국학술정보
    여호규, 2014,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 신서원
  • 대무신왕의 맏아들이다 : 삼국유사1 왕력(王曆)에는 민중왕의 형으로 전한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25대 진지왕(眞智王, AD 576~579) 4년 : 기원후 579년

제 25 대 진지왕 ( 眞智王,  AD 576~579) 4 년 : 기원후 579 년   ▶ 백제가 성을 쌓아 길을 막다 : 579 년 02 월 ( 음 )   四年 , 春二月 , 百濟築熊峴城 · 松述城 , 以梗䔉 山城 · 麻知峴城 · 內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