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대 나해이사금(奈解尼師今, AD 196~230) 29년 : 기원후 224년
▶ 연진이 봉산에서 백제를 물리치다 : 224년 07월(음)
- 二十九年, 秋七月, 伊伐湌連珍與百濟戰烽山下, 破之, 殺獲一千餘級.
- 29년(224) 가을 7월에 이벌찬(伊伐湌)[1] 연진(連珍)[2]이 봉산(烽山)[3] 아래에서 백제와 싸워, 그들을 격파하고 1천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4]
▶ 봉산성을 쌓다 : 224년 08월(음)
- 八月, 築烽山城.
- 〔29년(224)〕 8월에 봉산성(烽山城)[5]을 쌓았다.[6]
==========
[각주]
- 이벌찬(伊伐湌) : 같은 내용을 기록한 본서 권24 백제본기2 구수왕 11년(224) 7월조에는 연진의 관등이 일길찬으로 되어 있다. 오기이거나 전해 10월 연진이 이벌찬이 된 것을 백제가 모르고 예전 관등을 적었을 가능성을 상정해 볼 수 있다. 이벌찬에 대해서는 본서 권1 신라본기1 유리이사금 9년(32)조의 이벌찬에 대한 주석 참조.
- 연진(連珍) : 전해(223) 10월 백제와의 전투에서 패전한 책임을 물어 이벌찬에서 물러난 충훤을 대신해 이벌찬이 된 후 이 기사에서 크게 활약하였다. 이후의 행적은 알 수 없다.
- 봉산(烽山) : 본서 권37 잡지6 지리4 삼국유명미상지분(三國有名未詳地分)조에도 나오는 위치 미상의 지명이다. 이때의 승리를 계기로 다음 달에 성을 축조하였다. 본서 권2 신라본기2 첨해이사금 9년(255) 10월조와 미추이사금 5년(266) 8월조에도 백제와 격전을 치루는 기사가 있어서, 백제와의 국경 요충지 중 하나로 추정된다.
- 이벌찬(伊伐湌) … 사로잡았다 : 다음 달(8월)의 봉산성 축조와 연결되는 기사이다. 본서 권24 백제본기2 구수왕 11년(224) 7월조에도 같은 내용이 있는데, 단 백제본기에서는 연진이 일길찬으로 기록되어 있다.
- 봉산성(烽山城) : 위치 미상의 성이다. 본서 권2 신라본기2 나해이사금 29년(224) 7월조의 봉산에 대한 주석 참조.
- 봉산성(烽山城)을 건설하였다 : 전월(7월)의 기사와 연결되는 기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