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대 진흥왕(眞興王 AD 540~576) 5년 : 기원후 544년
▶ 흥륜사가 완공되다 : 544년 02월(음)
- 五年, 春二月, 興輪寺成.
- 5년(544) 봄 2월에 흥륜사(興輪寺)[1]가 완공되었다.
▶ 사람들의 출가를 허락하다 : 544년 03월(음)
- 三月, 許人出家爲僧尼奉佛.
- 〔5년(544)〕 3월에 사람들이 출가(出家)하여 승려가 되어 부처를 받드는 것을 허락하였다.[2]
=-=-=-=-=-=-=
[각주]
- 흥륜사(興輪寺) : 현재 경북 경주시 금성로209 경주공업고등학교 자리에 위치하였던 신라에서 가장 먼저 창건한 사찰이다. 대흥륜사(大興輪寺) 또는 대왕흥륜사(大王興輪寺)라고도 불렀다. 『삼국유사』 권제3 흥법제3 원종흥법 염촉멸신조에 법흥왕 14년(527)에 전불시대(前佛時代) 7처가람의 하나인 천경림(天鏡林)에 터를 잡고, 법흥왕 22년(535)에 처음으로 공사를 일으켜 진흥왕 5년(544)에 완성하였다고 전한다. 현재 경주시 국당3길 5에 흥륜사가 있으나, 이곳은 영묘사(靈廟寺)가 위치하였던 자리로 밝혀졌다. 2008년에 경주공업고등학교에서 ‘대왕흥륜사(大王興輪寺)’의 일부로 추정되는 ‘왕흥(王興)’이라는 명문이 새겨진 기와편이 발견되었는데(국립경주박물관), 현재 이를 근거로 하여 경주공업고등학교 사지(寺址)가 바로 흥륜사 터였다고 이해하고 있다.고려 후기까지 흥륜사 금당 안에 아도(阿道), 영촉(猒髑), 의상(義湘), 원효(元曉) 등 신라 10성(聖)의 소상(塑像)이 봉안되어 있었고, 경명왕(景明王) 5년(921)에 정화(靖和)와 홍계(弘繼) 두 승려가 금당에 금색으로 그린 보현보살상(普賢菩薩像)도 보존되어 있었다. 이 밖에 흥륜사 금당에 김양도(金良圖)가 조성한 미륵삼존불(彌勒三尊佛)이 있었고, 진평왕 때에 흥륜사 남문(南門)을 비형랑(鼻荊郞)의 무리 가운데 길달(吉達)이라는 귀신이 만들었다고 하여 길달문(吉達門)이라고 불렀다는 전승이 전해진다. 『호산록(湖山錄)』 권4 흥륜사대종명병서(興輪寺大鐘銘幷序)에 흥륜사는 1244년(고종 31) 이전에 몽골군에 의해 불타서 다시 중건하였다고 전하는데, 실제 경주공업고등학교 서남쪽 모서리에서 통일신라의 와당과 함께 고려시대 건물지가 발견되어(李根直), 이러한 사실이 입증되었다. 조선 전기에 화재로 소실된 뒤에 폐사(廢寺)되었다.〈참고문헌〉李根直, 2002, 「신라 興輪寺 위치관련 기사 검토」, 『新羅文化』 20국립경주박물관, 2011, 『경주공업고등학교내 유구수습조사』
- 사람들이 출가(出家)하여 … 허락하였다 : 『삼국유사』 권제1 왕력 제23 법흥왕조에 “처음으로 율령을 시행하였으며, 처음으로 십재일(十齋日)을 시행하여 살생(殺生)을 금하였고, 속인(俗人)이 출가하여 승니가 되는 것을 허락하였다.”라고 전한다. 본 기록은 본서에 전하는 신라 최초의 도승(度僧) 기록으로서 이 해 2월 흥륜사의 창건과 관련이 있다고 짐작된다. 신라에서는 사찰의 건립과 함께 그 사찰의 복전(福田)을 삼기 위해 도승하는 경우와 왕이 자신의 병을 치료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 백고좌강회(百高座講會)나 도승을 실시한 경우가 있었다(呂聖九). 한편 『삼국유사』의 왕력 기록, 법흥왕과 법흥왕비의 출가 사실, 「울주 천천리 각석 을묘명(蔚州 川前里 刻石 乙卯銘)」에 비구(比丘)‧사미(沙彌) 등의 표현이 보이는 사실 등을 주목하여 법흥왕대에 이미 도승을 실시하였다고 이해한 다음, 본 기록은 신라 최초의 사찰이 낙성됨에 따라 여기에서 일정한 업무를 담당할 승려들이 필요하였고, 이에 진흥왕이 출가를 허가한다고 공표함으로써 출가를 독려한 사실을 반영한다고 이해한 견해가 제기되었다(辛善惠, 106~107쪽). 이밖에 법흥왕·진흥왕대에 다수의 사람들을 승려로 만들 필요성이 적은 점, 진평왕대에 비로소 왕권강화책에 의한 전제왕권이 확립되었다는 사실, 중국에서 유학한 승려들의 귀국으로 교학불교(敎學佛敎)가 성립되기 시작한 사실, 일반 민을 향해 불교대중화를 이루기 위한 교화승(敎化僧)의 노력이 나타나기 시작한 이후에 비로소 도승 성립 기반이 조성될 수 있다는 점 등을 주목하여, 진정한 의미에서의 도승은 선덕왕대에 시작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제기되었다(조원숙, 2010).〈참고문헌〉呂聖九, 2006, 「신라인의 출가와 도승」, 『震檀學報』 101조원숙, 2010, 「신라의 度僧 시행」, 『新羅史學報』 19辛善惠, 2016, 「新羅 中古期 佛敎敎團 연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