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4월 15일 금요일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8대 아달라이사금(AD 154~184) 4년 : 기원후 157년

8대 아달라이사금(阿逹羅尼師今, AD 154~184) 4: 기원후 157

 

감물현과 마산현을 설치하다 : 15702()

 

  • 四年, 春二月, 始置甘勿·馬山二縣.
  • 4(157) 2월에 처음으로 감물현(甘勿縣)[1]과 마산현(馬山縣)[2] 두 개의 현()[3]을 설치하였다.

 

장령진을 순행하다 : 15703()

 

  • 三月, 巡幸長嶺鎮, 勞戍卒, 各賜征袍.
  • 4(157)3월에 왕이 장령진(長嶺鎭)[4]을 방문하여 그곳을 지키는 병사들을 위로하면서 그들에게 군복을 하사하였다.

 

==========

 

[각주]

  1. 감물현(甘勿縣) : 현재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지만, 감문국(甘文國), 곧 지금의 경상북도 김천시 어모면과 개령면 일대로 비정하는 견해가 있다(井上秀雄, 61). 감물과 감문은 발음이 유사하고, 또 본서 지리지에 금물현(今勿縣)이라는 이름이 나오기 때문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4 충주목조의 감물내미부곡(甘勿內彌部曲)’을 근거로 충청북도 충주시 남쪽 45리 되는 지점일 것으로 보는 주장도 있다(千寬宇, 188, 297). 그러나 2세기 단계에 신라가 충주 일대까지 진출했다고 보기 어렵다고 보아 그 가능성을 높게 보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서 권37 잡지6 지리4 삼국유명미상지분(三國有名未詳地分)조에 나오는 감물성(甘物城)과 동일한 곳이라 여겨진다.
    참고문헌
    井上秀雄 譯註, 1980, 三國史記1
    千寬宇, 1989, 古朝鮮史·三韓史硏究, 一潮閣 
  2. 마산현(馬山縣) : 현재로서는 그 위치를 알 수 없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7 충청도 한산군(韓山郡)조 건치연혁에 한산군이 본래 백제의 마산현(馬山縣)이라고 되어 있어, 지금의 충청남도 서천군 동부 일대일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아달라이사금대에 신라가 이 지역까지 진출했다고 보기는 힘들어서 일반적으로 그렇게 이해하지는 않는다. 신증동국여지승람14 충주목 봉수조에 마산봉수(馬山烽燧)’가 있어서 지금의 충청북도 충주 서쪽으로 비정하는 견해도 있다(千寬宇, 188, 297). 이 역시 비슷한 이유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지는 않다. 한편 지금의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으로 비정하기도 하나(井上秀雄, 61), 명확한 근거는 없다.
    참고문헌
    井上秀雄 譯註, 1980, 三國史記1
    千寬宇, 1989, 古朝鮮史·三韓史硏究, 一潮閣 
  3. () : 신라의 지방행정단위 주(), (), () 중 하나로 가장 하위 행정단위이다. 중고기 성()이나 촌()7세기 이후 현으로 변화한 것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있다(金昌錫, 2007, 신라 縣制의 성립과 기능, 韓國古代史硏究48). 이 시기의 현은 후대의 지방행정단위가 부회된 것이다. 
  4. 장령진(長嶺鎭) : 본서 권3 신라본기3 소지마립간 15(493) 7월조에도 나오는데, 그 기사에서는 임해진(臨海鎭)과 장령진을 설치하여 왜적을 막았다고 하였다. 이를 볼 때 경주 인근 동해안 방면에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21 경주부(慶州府) 역원(驛院)조에 있는 경주 동쪽 25리에 있다는 장령원(長嶺院)’이 이곳이 아닐까 추정하기도 한다. 지금의 경주시 덕황동 일대나 괘릉리 원고개 일대일 가능성도 제기된 바도 있다. 한편 장령진이라는 이름은 고구려와 백제에서도 확인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45 영흥대도호부(永興大都護府) 건치연혁조에 이곳의 옛 이름이 고구려 장령진이라고 나오며, 본서 백제본기 무령왕 7(507) 5월조에 백제 장령성이 나오는데, 당시 신라가 고구려와 백제 영역 안까지 진출했다고 보기 힘들어서 동일한 곳일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정구복 외, 2012, (개정증보) 역주 삼국사기4,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396).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25대 진지왕(眞智王, AD 576~579) 4년 : 기원후 579년

제 25 대 진지왕 ( 眞智王,  AD 576~579) 4 년 : 기원후 579 년   ▶ 백제가 성을 쌓아 길을 막다 : 579 년 02 월 ( 음 )   四年 , 春二月 , 百濟築熊峴城 · 松述城 , 以梗䔉 山城 · 麻知峴城 · 內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