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4월 15일 금요일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7대 일성이사금(AD 134~154) 1년 : 기원후 134년

 제7대 일성이사금(逸聖尼師今, 134~154) 1: 134

 

일성이사금이 즉위하다 : 13408()

 

  • 逸聖尼師今立. 儒理王之長子 或云日知葛文王之子.. 妃朴氏, 支所禮王之女.
  • 일성이사금(逸聖尼師今)[1]이 왕이 되었다. 유리왕(儒理王)의 맏아들[2]이다. 혹은 일지(日知) 갈문왕(葛文王)[3]의 아들이라고도 한다. 왕비는 박()씨인데, 지소례왕(支所禮王)[4]의 딸이다.

 

사면령을 내리다 : 13409()

 

  • 元年, 九月, 大赦.
  • 원년(134) 9월에 크게 사면을 내렸다.

 

==========

 

[각주]

  1. 일성이사금(逸聖尼師今) : 신라 제7대 왕. 본서에 따르면, 서기 134년에 즉위하여 154년에 사망한 것으로 되어 있다. 혁거세의 혈통을 이은 박씨 족단 출신으로, 아버지는 제3대 왕 유리이사금이라고 하는데, 여러 이설이 함께 전한다. 어머니에 대해서는 본 기사에서 따로 거론되지 않았으나, 앞선 유리이사금 즉위조에서 왕비를 일지 갈문왕의 딸이라고 한 것을 참고할 수 있다. 일성이사금의 왕비는 본 기사에서는 지소례왕(支所禮王)’의 딸로서 박씨라고 나오는데, 삼국유사권제1 왕력제1에서는 일지 갈문왕의 딸인 례부인(禮夫人)’으로 전하여 차이가 있다. 본서에서 전하는 계보상 자신의 조카에 해당하는 지마이사금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고, 사망 후 왕위는 아들인 아달라이사금에게 넘어갔다고 한다.
  2. 유리왕(儒理王)의 맏아들 : 본서에서는 일성이사금이 유리왕의 맏아들이라는 전승을 우선 싣고 일지 갈문왕의 아들이라는 이설을 협주로 덧붙였다. 삼국유사권제1 왕력제1에서는 일성왕의 아버지를 노례왕(弩禮王: 유리왕)의 형이라 하고, 혹은 지마왕이라 하였다. 이 가운데 지마왕이 일성왕의 아버지라는 설은 정상적인 부자 계승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자 하는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신빙성이 약하다. 유리왕의 맏아들이라는 설도 적장자 계승을 우선시하는 인식에 토대를 둔 것으로 보여, 과연 사실을 전한 것인지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그리고 유리왕은 본서에 의거할 때 서기 57년에 사망했다고 하는데, 그의 맏아들이라는 일성왕은 154년에 사망한 것으로 전하여, 일성왕의 생존 시기가 지나치게 길어지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일성왕을 유리왕 또는 유리왕의 형의 아들로 전하는 설은 사실이 아니라고 보는 주장도 제기되었다(李基白, 1974, 新羅時代葛文王, 新羅政治社會史硏究, 一潮閣). 일지 갈문왕 역시 앞서 본서 유리이사금 즉위조에서 유리왕의 장인으로 소개된 인물이므로, 같은 논리를 적용하면 일성왕의 아버지가 되기 어렵다. 물론 이 문제는 신라 초기의 기년이 실제보다 대폭 상향 조정되었다고 볼 경우에는 다른 차원에서의 접근도 가능하다.
  3. 일지(日知) 갈문왕(葛文王) : 본서 유리이사금 즉위조에서는 유리왕의 장인으로 나온 바 있다. 갈문왕에 대해서는 본서 권1 신라본기1 일성이사금 15(148)조의 주석 참조.
  4. 지소례왕(支所禮王) : 신라 초기에 활동한 인물. 본 기사에서는 일성이사금의 장인으로 나오지만, 다른 곳에서는 따로 확인되지 않는다. 참고로 삼국유사권제1 왕력제1에서는 일성이사금의 왕비를 일지 갈문왕의 딸인 례부인(禮夫人)’으로 전하여 차이가 있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25대 진지왕(眞智王, AD 576~579) 4년 : 기원후 579년

제 25 대 진지왕 ( 眞智王,  AD 576~579) 4 년 : 기원후 579 년   ▶ 백제가 성을 쌓아 길을 막다 : 579 년 02 월 ( 음 )   四年 , 春二月 , 百濟築熊峴城 · 松述城 , 以梗䔉 山城 · 麻知峴城 · 內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