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4월 14일 목요일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6대 지마이사금(AD 112~134) 10년 : 기원후 121년

 제6대 지마이사금(祇摩尼師今, AD 112~134) 10: 기원후 121

 

관리를 임명하다 : 12101()

 

  • 十年, 春正月, 以翌宗爲伊湌, 昕連爲波珍湌, 林權爲河[정덕본에는 로 되어 있고, 삼국사절요·주자본·을해목활자본에는 로 되어 있다. 신라 관등명이므로 가 옳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본에서도 를 따랐다.].
  • 10(121) 봄 정월에 익종(翌宗)[1]을 이찬(伊飡)[2]으로, 흔련(昕連)[3]을 파진찬(波珍飡)[4]으로, 임권(林權)[5]을 아찬(阿飡)[6]으로 삼았다.

 

대증산성을 쌓다 : 12102()

 

  • 二月, 築大甑山城.
  • 10(121)2월에 대증산성(大甑山城)[7]을 축조하였다.

 

왜가 침략하다 : 12104()

 

  • 夏四月, 倭人侵東邊.
  • 10(121)여름 4월에 왜인(倭人)이 동쪽 변경을 침략하였다.

 

==========

 

[각주]

  1. 익종(翌宗) : 신라 초기에 활동한 인물. 지마이사금 114월조에도 왜의 침략에 관한 소문으로 민심이 동요하자 그것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한 것으로 나온다. 아울러 한자는 다르지만 같은 발음인 익종(翊宗)이 석씨 족단 출신의 왕인 첨해이사금의 재위 9년에 일벌찬(一伐飡)의 관등을 지니고 백제군의 침략에 맞서 싸우다가 전사한 것으로 전해진다(삼국사기2 신라본기 유례이사금 99월조). 이를 근거로 본 기사와 다른 두 기사에 보이는 익종을 동일 인물로 파악하면서 신라 초기에는 박씨 왕통과 석씨 왕통이 동 시기에 병립해 있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宣石悅, 2001, 新羅國家成立過程硏究, 혜안).
  2. 이찬(伊飡) : 신라 경위 17관등제의 제2등에 해당하는 관등. 상세한 내용은 본서 권1 신라본기1 유리이사금 9(32)조의 주석 참조.
  3. 흔련(昕連) : 신라 초기에 활동한 인물로, 이 기사 외에는 따로 보이지 않는다.
  4. 파진찬(波珍飡) : 신라 경위 17관등제의 제4등에 해당하는 관등. 상세한 내용은 본서 권1 신라본기1 유리이사금 9(32)조의 주석 참조.
  5. 임권(林權) : 신라 초기에 활동한 인물로, 이 기사 외에는 따로 보이지 않는다.
  6. 아찬(阿飡) : 신라 경위 17관등제의 제6등에 해당하는 관등. 상세한 내용은 본서 권1 신라본기1 유리이사금 9(32)조의 주석 참조.
  7. 대증산성(大甑山城) : 지금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 일대에 있었던 산성으로 추정된다. 본서 권34 잡지3 지리1 양주조에 동래군(東萊郡)의 영현 가운데 하나로 동평현(東平縣)’이 나오는데, 본래 이름이 대증현(大甑縣)’이었다고 되어 있다. 지금의 당감4동 동평초등학교 일대에서 고려~조선 시대 성곽의 존재가 확인되어 1990년대에 발굴 조사가 이루어진 바 있다(부산광역시립박물관, 1996, 堂甘洞城址). 그 주변의 당감동 고분군에서는 삼국시대 신라 토기가 출토되기도 하였다(釜山大學校博物館, 1984, 釜山 堂甘洞 古墳群).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25대 진지왕(眞智王, AD 576~579) 4년 : 기원후 579년

제 25 대 진지왕 ( 眞智王,  AD 576~579) 4 년 : 기원후 579 년   ▶ 백제가 성을 쌓아 길을 막다 : 579 년 02 월 ( 음 )   四年 , 春二月 , 百濟築熊峴城 · 松述城 , 以梗䔉 山城 · 麻知峴城 · 內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