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대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 AD 80~112) 23년 : 기원후 102년
▶ 음즙벌국을 정벌하다 : 102년 08월(음)
- 二十三年, 秋八月, 音汁伐國與悉直谷國爭疆, 詣王請決. 王難之謂, “金官國首露王, 年老多智識.” 召問之. 首露立議, 以所爭之地, 屬音汁伐國. 於是, 王命六部, 㑹饗首露王. 五部皆以伊湌爲主, 唯漢祇[정덕본에는 祇로 되어 있고, 주자본·을해목활자본에는 祗로 되어 있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본에서는 祇를 따랐다.]部以位卑者主之. 首露怒, 命奴躭[정덕본·을해목활자본에는 躭으로 되어 있다. 躭은 耽의 속자이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본에서는 耽으로 표기하였다.]下里, 殺漢祇部主保齊而歸. 奴逃依音汁伐主陁鄒干家. 王使人索其奴, 陁鄒不送. 王怒, 以兵伐音汁伐國, 其主與衆自降. 悉直·押督二國王來降.
- 23년(102) 가을 8월에 음즙벌국(音汁伐國)[1]과 실직곡국(悉直谷國)[2]이 영토를 놓고 다투다가 왕에게 와서 결정해 줄 것을 청하였다. 왕이 어렵게 여겨 이르기를, “금관국(金官國)[3]의 수로왕(首露王)[4]이 나이가 많아 지식이 많다.”라고 하며 불러서 물어보았다. 수로왕이 의견을 내어 다툼이 된 땅을 음즙벌국에 속하게 하였다. 이에 왕이 6부(六部)[5]에 명하여 수로왕을 만나 잔치를 베풀게 하였다. 다섯 부는 모두 이찬(伊飡)이 잔치의 주관자가 되었으나,[6] 오직 한기부(漢祇部)만이 지위가 낮은 자를 주관자로 삼았다.[7] 수로가 분노하여 자신의 노복(奴僕)인 탐하리(耽下里)[8]에게 명하여 한기부의 주관자[主] 보제(保齊)[9]를 죽이게 하고는 돌아가 버렸다. 노복 탐하리는 음즙벌국의 왕 타추간(陁鄒干)[10]의 집에 도망가서 의지하였다. 왕이 사람을 시켜 그 노복을 붙잡게 하였는데, 타추가 보내주지 않았다. 왕이 분노하여 군사를 일으켜 음즙벌국을 정벌하니, 그 왕이 자신의 무리와 함께 스스로 항복하였다. 실직과 압독(押督)[11] 두 나라 왕도 와서 항복하였다.
▶ 겨울에 복사꽃과 오얏꽃이 피다 : 102년 10월(음)
- 冬十月, 栱[정덕본에는 栱으로 되어 있고, 《삼국사절요》·주자본·을해목활자본에는 桃로 되어 있다. 문맥상 桃가 옳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본에서도 桃를 따랐다.]李華.
- 〔23년(102)〕 겨울 10월에 복사꽃과 오얏꽃[12]이 피었다.
==========
[각주]
- 음즙벌국(音汁伐國) : 현재의 경북 경주시 안강읍에 가까운 지역에 있었던 소국. 본서 권34 잡지3 지리1 양주 의창군(義昌郡: 지금의 포항시 북구 흥해읍)조에 안강현(安康縣), 기립현(鬐立縣: 지금의 포항시 남구 장기면), 신광현(神光縣: 지금의 포항시 북구 신광면), 임정현(臨汀縣: 지금의 포항시 남구 연일읍), 기계현(杞溪縣: 지금의 포항시 북구 기계면)과 함께, 의창군의 영현의 하나로 음즙화현(音汁火縣)이 열거되었으며, “음즙화현은 파사왕(婆娑王) 때 음즙벌국(音汁伐國)을 취하여 현을 설치한 곳인데, 지금은 안강현(安康縣)에 합속(合屬)되었다.”라고 소개되어 있다. 음즙화현의 ‘화(火)’는 우리말 ‘불’ 또는 ‘벌(伐)’을 한자로 훈차할 때 흔히 사용된 글자이다. 『삼국유사』 권제1 왕력제1에서도 “이 왕대에 음질국(音質國)을 멸망시켰다.”라고 전하면서 음질국에 대해 “지금[고려]의 안강(安康)”이라고 주석을 붙였다. 안강현이 별도로 존재했으므로, 음즙화현 즉 과거의 음즙벌국의 위치는 안강과는 다른 지역으로 보아야 할 것이지만, 합속되었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그 부근에 있었을 것은 분명하다.
- 실직곡국(悉直谷國) : 현재의 강원도 삼척시 일대에 있었던 소국. 본 기사와 본서 권35 잡지4 지리2에서는 줄여서 ‘실직국(悉直國)’으로도 표기되었고, 본서 신라본기의 다른 곳에서는 ‘실직(悉直: 파사이사금 25년(104) 7월조, 나물이사금 40년(395) 8월조, 눌지마립간 34년(450) 7월조, 태종무열왕 5년 3월조)’, ‘실직성(悉直城: 자비마립간 11년조)’, ‘실직주(悉直州: 지증왕 6년조)’ 등의 이름으로 등장하며, 잡지의 여러 곳에서는 ‘실직군(悉直郡: 제사지 중사조, 지리4 고구려조)’, ‘실직정(悉直停: 직관지)’, ‘실직주(悉直州: 직관지)’ 등으로 나온다. 본서 권35 잡지4 지리2 명주 삼척군(三陟郡)조를 보면, “삼척군은 본래 실직국(悉直國)이었는데, 파사왕 때 항복해 왔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오늘날의 삼척 지역이 실직국이 있었던 곳임을 알려준다. 금석문상에서는 ‘실지(悉支)’로도 표기되었는데, 524년에 세워진 「울진 봉평리 신라비」에 ‘실지군주(悉支軍主)’, ‘실지도사(悉支道使)’ 등의 관직명이 보인다.한편 이 기사에서 실직곡국이 음즙벌국과 영토를 둘러싸고 갈등을 빚었다고 하는데, 실직곡국이 삼척 지역에 있었다면 음즙벌국이 있었던 안강 지역과는 거리가 상당히 멀리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유의하여, 본 기사에서의 실직곡국의 위치를 삼척보다 남쪽에 있는 지금의 경북 영덕군 영해면 지역으로 파악하는 견해가 있다(申瀅植, 68쪽). 반면 실질곡국의 위치를 지금의 삼척 지역으로 보면서, 실직곡국과 음즙벌국의 쟁강에 대해 동해안 지역에서의 해상교역을 위한 중간 기항지 확보 문제로 발생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徐榮一, 7~9쪽).〈참고문헌〉申瀅植, 1975 ,「新羅軍主考」, 『白山學報』 19徐榮一, 2003, 「斯盧國의 悉直國 倂合과 東海 海上權의 掌握」, 『新羅文化』 21
- 금관국(金官國) : 지금의 경상남도 김해시 일대에 자리 잡았던 가야 소국. 자세한 내용은 본서 권1 신라본기1 탈해이사금 즉위년조 기사의 주석 참조.
- 수로왕(首露王) : 금관국(가락국)의 건국 시조. 『삼국유사』 권제2 기이제2 가락국기조에 그 탄생부터 즉위, 혼인, 사망에 이르는 과정이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다. 그에 의하면, 서기 42년에 해당하는 후한 광무제 건무 18년 임인년(壬寅年)에 하늘로부터 구지봉(龜旨峯)에 내려온 여섯 개의 황금알 가운데 가장 먼저 깨어났다고 하며, 9간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오른 후 아유타국에서 건너온 허황옥(許黃玉)을 왕비로 맞이들이고 158년 간 나라를 다스리다가 후한 헌제 건안 4년(199)에 사망한 것으로 되어 있다. ‘수로(首露)’라는 이름의 뜻에 대해, 가락국기에서는 여섯 개의 알 가운데 가장 먼저[首] 모습을 드러냈기에[露] ‘수로’라고 하였다고 했지만, 이는 후대인들이 한자의 의미를 빌려 윤색한 것이며, 실제로는 고유어를 음차한 것으로 파악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한편 가락국기에는 본서에는 전하지 않는 설화로, 탈해가 신라의 왕이 되기 전에 수로왕의 왕위를 빼앗기 위해 가락국을 찾아왔다가 수로왕과의 둔갑술 겨룸에서 패해 신라로 달아났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 6부(六部) : 상고기에 신라 국가를 구성했던 6개의 정치체. 그렇지만 본 기사에서 전하는 시기에 6부가 모두 갖추어져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본서 권1 신라본기1 시조 혁거세거서간 17년(B.C. 41)조의 주석 참조.
- 이찬(伊飡)이 잔치의 주관자가 되었으나 : 파사이사금이 오늘날로 치면 ‘국빈(國賓)’에 해당하는 수로왕을 직접 대접하지 않고, ‘6부’로 하여금 잔치를 베풀게 하였다는 점에서 당시 신라와 가야 사이의 역관계가 전자가 우위가 된 형태로 전개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6부’에서 잔치를 주관한 자가 ‘이찬(伊飡)’으로 나오는 것은 이 시기까지만 하더라도 각 부의 우두머리가 후대의 ‘이찬’에 상응하는 인물들이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강종훈, 2000, 『신라상고사연구』, 서울대출판부, 123~125쪽).
- 한기부(漢祇部)만이 … 주관자로 삼았다 : 한기부는 탈해를 시조로 하는 석씨 족단이 중심이 된 부로 파악되는데, ‘6부’ 가운데 유독 한기부만 우두머리인 이찬이 아닌 지위가 낮은 자를 잔치의 주관자로 내보냈다는 설화는 탈해가 신라로 들어오기 전에 금관국(가락국) 수로왕과의 대결에서 패퇴한 데서 생긴 구원(舊怨)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파악된다(강종훈, 2000, 『신라상고사연구』, 서울대출판부, 123~125쪽).
- 탐하리(耽下里) : 금관국의 수로왕이 신라의 수도를 방문했을 때 동행한 인물로, 수로왕의 명을 받아 한기부의 지배층 가운데 한 사람인 보제(保齊)를 살해하고, 음즙벌국의 우두머리인 타추간(陀鄒干)에게 달아났다고 나온다. 이 기사 외에는 따로 보이지 않는다.
- 보제(保齊) : 수로왕을 대접하기 위해 육부에서 잔치를 베풀었을 때, 한기부에서 대표자로 참석한 인물. 이 기사에서 ‘위비자(位卑者)’ 즉 지위가 낮은 자로 표현되었으며, 모욕감을 느낀 수로왕이 자신의 노복(奴僕) 탐하리를 시켜 살해하게 하였다(강종훈, 2000). 한편 ‘한기부주(漢祇部主)’로 표현된 그를 ‘한기부의 우두머리’였던 것으로 이해하고, 당시 6부에서는 이찬 위에 ‘부주(部主)’가 따로 존재했다고 파악하는 견해도 있다(全德在, 1996).〈참고문헌〉全德在, 1996, 『新羅六部體制硏究』, 一潮閣강종훈, 2000, 『신라상고사연구』, 서울대출판부
- 타추간(陁鄒干) : 음즙벌국의 우두머리로 전하는 인물. 이 기사 외에는 따로 보이지 않는다.
- 압독(押督) : 현재의 경북 경산시 지역에 있었던 소국. 본기 권34 잡지3 지리1 양주 장산군조에는 ‘압량소국(押梁小國)’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압량’은 ‘압독’을 달리 적은 것으로, 본서 신라본기5 선덕왕 11년조와 악지(樂志), 김유신열전 등에서는 압독 대신 ‘押梁’으로 표기되었다.
- 복사꽃과 오얏꽃 : 복사꽃은 복숭아나무에서 피는 분홍색의 화사한 꽃이며, 오얏꽃은 자두나무에서 피는 순백색의 화사한 꽃이다. 양력 4월에 개화하는 두 꽃이 음력 10월에 피었다는 것은 이상기온으로 인할 것일 수 있으나, 신라 당시로서는 큰 이변으로 받아들여져 후대까지 구전되었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