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4월 18일 월요일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11대 조분이사금(AD 230~247) 15년 : 기원후 244년

11대 조분이사금(助賁尼師今, AD 230~247) 15: 기원후 244

 

석우로를 서불한에 임명하다 : 24401()

 

  • 十五年, 春正月, 拜伊湌于老爲舒弗邯, 兼知兵馬事.
  • 15(244) 봄 정월에 이찬(伊湌)[1] 우로(于老)[2]를 서불한(舒弗邯)[3]에 임명하여 군사에 관한 일을 겸하여 담당하게 하였다.[4]

 

==========

 

[각주]

  1. 이찬(伊湌) : 신라 경위(京位) 17관등(官等) 중 제2등에 해당하는 것이다. 본서 권1 신라본기1 유리이사금 9(32)조의 이척찬에 대한 주석 참조.
  2. 석우로(昔于老) : 나해이사금의 아들로 나해이사금대에서 첨해이사금대까지 주로 군사적인 활동을 한 인물이다. 본서 권2 신라본기2 나해이사금 14(209) 7월조의 석우로에 대한 주석 참조.
  3. 서불한(舒弗邯) : 서불한은 신라 경위 17관등 중 제일 높은 이벌찬(伊伐湌)의 이칭으로 알려져 있다. 이벌찬에 대해서는 본서 권1 신라본기1 유리이사금 9(32)조의 이벌찬에 대한 주석 참조.
  4. 군사에 하였다 : 신라 초기에 제1, 2관등인 서불한(舒弗邯이벌찬(伊伐湌), 이찬(伊湌)의 임명 기사에 그들에게 군사와 국정운영을 맡겼다는 표현이 같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 기사에서는 군사에 대한 업무만 적혀있지만 이미 그 이전부터 석우로는 군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으므로, 서불한 이전부터 국정과 군사를 모두 총괄하고 있었다고 보아야겠다. 이 당시 이들이 책임을 맡았던 군사와 국정이 엄격히 구분되는 업무 분야는 아니었다고 여겨진다. 이찬 등이 관직이 아니므로, 군사와 국정이 이찬 등의 고정적인 직무라 하기는 힘들고, 아직 관직과 관등이 분화하지 않은 상황에서 최고 직위의 역할을 서술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25대 진지왕(眞智王, AD 576~579) 4년 : 기원후 579년

제 25 대 진지왕 ( 眞智王,  AD 576~579) 4 년 : 기원후 579 년   ▶ 백제가 성을 쌓아 길을 막다 : 579 년 02 월 ( 음 )   四年 , 春二月 , 百濟築熊峴城 · 松述城 , 以梗䔉 山城 · 麻知峴城 · 內利...